잠 못 드는 개발자
close
프로필 배경
프로필 로고

잠 못 드는 개발자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2)
    • Front-end (45)
      • HTML (25)
      • CSS (6)
      • JavaScript (7)
      • React (7)
    • Back-end (21)
      • SQL (2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Spring (2)
      • Flask (4)
    • AI (64)
      • Python (32)
      • 모두의 딥러닝 (24)
      • NLP (7)
    • Android (5)
    • Git & Github (7)
    • IT 지식 (3)
    • Lecture (8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글쓰기
[모두의 딥러닝] 13. 폐암 수술 환자의 생존율 예측 데이터 분석

[모두의 딥러닝] 13. 폐암 수술 환자의 생존율 예측 데이터 분석

1. 환경 및 데이터 준비 # 텐서플로 라이브러리 안에 있는 케라스 API에서 필요한 함수들 호출 from tensorflow.keras.models import Sequential from tensorflow.keras.layers import Dense # 데이터를 다루는 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호출 import numpy as np # 준비된 수술 환자 데이터를 불러옴 Data_set = np.loadtxt("./data/ThoraricSurgery3.csv", delimiter=",") X = Data_set[:,0:16] # 환자의 진찰 기록을 X로 지정 y = Data_set[:,16] # 수술 1년 후 사망/생존 여부를 y로 지정 2. 구조 결정 - 딥러닝의 구조를 짜고 층 설정 model =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24.
  • textsms
[모두의 딥러닝] 12. 기울기 소실(vanishing gradient) 문제, 활성화 함수(ReLU, softplus 등), 고급 경사 하강법(SGD, Adam 등)

[모두의 딥러닝] 12. 기울기 소실(vanishing gradient) 문제, 활성화 함수(ReLU, softplus 등), 고급 경사 하강법(SGD, Adam 등)

기울기 소실(vanishing gradient) 문제 - 문제 : 은닉층이 늘어나면서 출력층에서 시작된 가중치 업데이트가 처음 층까지 전달되지 않음 - 원인 : 활성화 함수로 사용된 시그모이드 함수 미분 값의 최대치가 0.25이므로 계속 곱하다보면 0에 가까워진다는 것 - 해결책 : 활성화 함수로 시그모이드가 아닌 다른 함수 탐색 활성화 함수 - 딥러닝에서는 activation이라는 객체에 이름을 넣어 사용 하이퍼볼릭 탄젠트(hyperbolic tangent) : 시그모이드 함수의 범위를 -1에서 1로 확장 : but, 1보다 작은 값 존재하므로 여전히 기울기 소실 문제 존재 렐루(ReLU) : x가 0보다 작을 때는 모든 값을 0으로 처리하고, 0보다 큰 값은 x를 그대로 사용 : x가 0보다 크기만 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22.
  • textsms
[모두의 딥러닝] 11. 오차 역전파(back propagation)

[모두의 딥러닝] 11. 오차 역전파(back propagation)

오차 역전파(back propagation) - 가중치와 바이어스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 - 예측 출력과 실제 출력 사이의 오차를 계산한 다음, 이 오차를 계층별로 역방향으로 전파하여 가중치를 적절히 조정 ※ 경사 하강법은 단일 퍼셉트론에서만 가능 구동 방식 1. 임의의 초기 가중치를 준 뒤 결과 계산 2. 계산 결과와 우리가 원하는 값 사이의 오차 계산 3. 경사 하강법을 이용해 바로 앞 가중치를 오차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업데이트 4. 1~3 과정을 더이상 오차가 줄어들지 않을 때까지 반복 '모두의 딥러닝 개정 3판'의 내용과 https://github.com/taehojo/deeplearning의 코드 참고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22.
  • textsms
[모두의 딥러닝] 10. 다층 퍼셉트론(multilayer perceptron), XOR 문제 해결

[모두의 딥러닝] 10. 다층 퍼셉트론(multilayer perceptron), XOR 문제 해결

다층 퍼셉트론(multilayer perceptron) - 입력층과 출력층 사이에 한 개 이상의 은닉층(hidden layer)을 포함한 신경망 구조 - 퍼셉트론 두 개를 각각 처리하는 은닉층을 만들어 두 개를 한 번에 계산하면 XOR 문제 해결 가능 설계 : 입력 값인 x1과 x2에 각각 가중치(w)를 곱하고 바이어스(b)를 더해 은닉층(node)으로 전송 : 은닉층에 모인 값들은 활성화 함수(ex. 시그모이드 함수)를 통해 최종 값으로 결과 보냄 : 각각의 가중치(w)와 바이어스(b) 값 결정 XOR 문제 해결 - 각각의 가중치와 바이어스 값 설정 - x1 값과 x2 값을 입력해 원하는 y 값이 나오는지 확인 XOR 문제 해결 - 파이썬 코드로 구현 1. 가중치와 바이어스 선언 import numpy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22.
  • textsms
[모두의 딥러닝] 9. 인공 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, XOR 문제

[모두의 딥러닝] 9. 인공 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, XOR 문제

인공 신경망(artificial neural network, ANN) - 뇌의 동작 원리를 모방한 컴퓨터 알고리즘으로, 여러 층의 퍼셉트론들이 데이터를 처리하고 학습하는 모델 - 역전파라고 불리는 과정을 통해 뉴런들 사이의 연결의 무게를 조정함으로써 학습하며, 패턴을 인식하고 예측 퍼셉트론(perceptron) : 신경망을 이루는 기본 단위 : 입력과 가중치를 곱한 값을 활성화 함수에 적용하여 출력을 결정 아달라인(Adaline) : 퍼셉트론에 경사 하강법을 도입해 최적의 경계선을 그릴 수 있게 함 XOR 문제 - 네 점 사이에 직선을 그을 때, 한 쪽에는 검은 점만 있고 다른 한 쪽에는 흰 점만 있게끔 그을 수 있을까? - XOR 문제는 선형 분리(퍼셉트론, 아달라인)가 불가능한 문제로, 하나의 단층 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22.
  • textsms
[모두의 딥러닝] 8. 로지스틱 회귀(logistic regression), 시그모이드 함수(sigmoid function), 교차 엔트로피 함수(cross entropy function)

[모두의 딥러닝] 8. 로지스틱 회귀(logistic regression), 시그모이드 함수(sigmoid function), 교차 엔트로피 함수(cross entropy function)

로지스틱 회귀(logistic regression) -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진 분류를 수행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 - 직선이 아닌 참(1)과 거짓(0) 사이를 구분하는 S자 형태의 선을 그어 주는 작업 로지스틱 회귀 예제 - 자격증 시험을 본 4명의 학생의 공부한 시간, 합격 여부 조사 - 독립 변수 : 공부한 시간 / 종속 변수 : 합격 여부 공부한 시간 2 4 6 8 10 12 14 합격 여부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# matplotlib 라이브러리 사용해서 그래프로 나타내기 import matplotlib.pyplot as plt x = [2, 4, 6, 8, 10, 12, 14] y = [0, 0, 0, 1, 1, 1, 1] plt.scatter(x, y) plt.xlabe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AI/모두의 딥러닝
  • · 2023. 5. 19.
  • textsms

[Python][Error] SyntaxError: (unicode error) 'unicodeescape' codec can't decode bytes in position 2-3: truncated \UXXXXXXXX escape

오류 발생 과정 업로드된 파일을 지정된 위치("C:\Users\Downloads\student1.wav")에 저장하려고 함 f.save("C:\Users\Downloads\student1.wav") ^ SyntaxError: (unicode error) 'unicodeescape' codec can't decode bytes in position 2-3: truncated \UXXXXXXXX escape SyntaxError : (unicode error) 'unicodeescape' codec can't decode bytes in position 2-3: truncated \UXXXXXXXX escape 오류 발생 이유 - 유니코드 이스케이프(Unicode escape) 시퀀스가 올바르지 않을 때 발..

  • format_list_bulleted IT 지식
  • · 2023. 5. 19.
  • textsms
  • navigate_before
  • 1
  • ···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···
  • 22
  • navigate_next
공지사항
전체 카테고리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2)
    • Front-end (45)
      • HTML (25)
      • CSS (6)
      • JavaScript (7)
      • React (7)
    • Back-end (21)
      • SQL (2)
      • JAVA (13)
      • Spring (2)
      • Flask (4)
    • AI (64)
      • Python (32)
      • 모두의 딥러닝 (24)
      • NLP (7)
    • Android (5)
    • Git & Github (7)
    • IT 지식 (3)
    • Lecture (8)
최근 글
인기 글
최근 댓글
태그
  • #태그
  • #PYTHON
  • #파이썬
  • #속성
  • #인공지능
  • #모두의 딥러닝
  • #딥러닝
  • #HTML
  • #두근두근파이썬
  • #문법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전체
Copyright ©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.
Designed by JJuum

티스토리툴바